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개인용 컴퓨터를 의미하는 PC의 운영체제는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애플의 Mac OS(OS X), 리눅스 토르발즈가 개발한 Linux 운영체제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Micorosoft Windows는 약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그야말로 개인 컴퓨터 OS 시장의 점령자나 다름 없는데요.


리눅스는 서버 컴퓨터나 기타 개발 환경에 주로 쓰이는 등 대부분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사용하기에, 오픈소스임에도 불구하고 개인 사용 비율은 굉장히 낮은 편입니다.

Mac OS 역시 해킨토시라는 암암리에 행해지는, 불법적 사용법 외에는 애플의 MAC을 직접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구요.


반면에 Windows OS는 가장 접근성이 뛰어나면서, 시장에도 많이 보급되어 가장 흔히 사용 되는 OS입니다.

대부분의 랩탑 노트북에도 OS가 구비되지 않은 프리도스 옵션이 아니고서야, 구매시부터 Windows가 설치되어 있는데요.


Windows OS의 가격은 만만치 않은 편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사실 윈도우를 교육용으로 무료 설치 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https://onthehub.com/search


마이크로소프트에선 대학생에게 교육용 버전인 Windows 10 Education 버전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실 많은 대학생들이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 하고, 불법 다운로드를 통해 윈도우를 사용하거나 비싼 가격에 정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데요.



위 링크를 통해 윈도우 10 교육버전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는 링크의 주소를 약간 변경해 바로 본인의 대학교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https://****.onthehub.com/


**** 부분에 본인의 대학교 포털 사이트 등의 이름을 넣으면 되는데요.


보통 학교 수강신청을 비롯해 여러가지 학사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는 Portal 서비스의 주소 앞 머리를 보면 학교 이름을 줄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하대학교는 Inha, 한국과학기술원은 Kaist, 부산대학교는 Pusan, 한양대학교는 Hanyang과 같은데요.

이를 이용해서 본인 학교의 약칭과 onthehub의 이름을 입력하면 손쉽게 해당 페이지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https://inha.onthehub.com/

인하대학교는 이렇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처음 페이지에 들어가서 본인 학교 이메일을 통해 계정을 등록, 인증 한 후 1개의 라이센스를 발급받을 수 있는데요.

발급받은 윈도우 교육용 라이센스는 사용기한 자체는 무제한이나, 해당 페이지의 라이센스 유지기간에 제한이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따로 라이센스를 저장 해놓지 않는다면, 일정기간 이후 해당 페이지에서 라이센스를 더 이상 볼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Evernote와 같은 서비스나 개인 클라우드 등에 저장 해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기존에 해당 서비스를 가입 했다거나, 혹은 페이지 접속이 안 되는 경우는 본인 학교의 전산팀으로 연락하면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학생에게 무료로 엑셀, 파워포인트와 같은 MS Office를 제공하는 Office365 서비스 역시 본인 대학교 이메일 인증을 통해 계정 생성이 가능한데요. 이 계정을 잊어버리게 된다면 상당히 난감해집니다. 재가입 역시 불가능하기 때문인데요.


이 경우에도 본인 대학교의 전산팀에 문의하면 비밀번호를 초기화하여 계정을 다시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본인 대학교에 Education 라이센스 제공이 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선, 이 역시 전산팀으로 전화하면 알 수 있습니다.

사실 많은 대학교에서 Office365와 MS Winodw Education 라이센스 발급이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위 방법으로 접근이 가능할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



 

반응형